구분 | 전공 교육과정 로드 맵(특성화 분야) | ||
---|---|---|---|
무역전문 인력 | 물류전문 인력 | 통상전문 인력 | |
기초 (1학년) | 무역학원론(1-1), 무역환경의 이해(1-1), 물류의 이해(1-1) FTA의 이해(1-2), 경제학원론(1-2), 물류관련 법규(1-2) |
||
발전 (2학년) |
무역영어1(2-1), 대외무역법(2-1) 무역상무론(2-2), 무역영어2(2-2) 관세법(2-2), 무역계약론(2-2) 무역보험론(2-2) | 보관하역론(2-1), 무역마케팅(2-1) 해외시장조사(2-2) | 한국무역론(2-1), 외환관리론(2-1), 원산지실무(2-1), 한국무역론(2-1) 무역정책(2-2), 관세법(2-2) |
심화 (3,4학년) |
무역상담론(3-1), 무역관습론(3-1) 무역창업론(3-1), 국제무역주선실무(3-2) 신용장실무(3-2), 무역영어회화1(3-2) 국제무역결제론(4-1), 무역영어회화2(4-1) 무역품목분류(4-1), 국제상무세미나(4-2) 무역분쟁해결론(4-2), 관세통관실무(4-2) | 국제운송론(3-1), 물류관리론(3-1) 국제물류론(3-2), 국제물류세미나(4-1) | 국제무역론(3-1), 국제통상환경론(3-2) 국제금융론(3-2), 국제무역세미나(4-1) 국제협상론(4-1), 국제금융세미나(4-2) 글로벌무역전략(4-2), FTA사례연구(4-2) |
체험 (3,4학년) | 캡스톤디자인1(3-2) 캡스톤디자인2(4-1), 장기현장실습(IPP)3(3-2), 현장실습(5)(3-2), 장기현장실습(IPP)4(4-2) 장기현장실습(IPP)1(4-2), 장기현장실습(IPP)2(4-2), 현장실습(1)(4-2), 현장실습2(4-2) |
||
분야설명 |
[교육목표] 무역실무 관련 기본지식을 함양하여 무역실무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 [취업진로] 중소무역기업, 대기업무역부, 외국무역기업 등 |
[교육목표] 물류 및 유통관련 분야에 종사할 수 있는 물류전문가 양성 [취업진로] 물류기업, 해운기업 및 항공사, 국제물류주선업 등 |
[교육목표] 통상환경에 부응하고 FTA통상전문인력 양성 [취업진로] 관세청, 정부기관, 국제통상관련 기구(IMF, IBRD, WTO 등) |